전체 글

전체 글

    2023년 회고

    스타트업 2년 차 시니어 개발자로 바라본 한 해를 돌이켜 보면, 많은 일이 있었던 것 같다. 업무방식과 역할의 변화 등 다양한 변화 기존 보다 더 빠르게, 개발 말고도 기획, UX, 팀 전략 등 기존에 다녔던 회사들보다 더 세세하게 챙겨야 했다. 사실 이런 부분들을 챙기지 못하면 역할을 제대로 못 하게 되는 부분이 처음에 놀랐지만, 그만큼 스타트업은 개개인에게 부여하고 기대하는 역할이 크다. 이걸 잘 살린다면 더 자유롭게 일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이 부분은 스타트업에서 자신의 역할과 회사가 바라는 역할이 동시에 적절히 투영될 경우, 최고의 퍼포먼스를 낼 수 있으리라 생각해 본다. 팀의 분리 원래 하나였던 팀이 PO에 따라 각각의 팀으로 분리되었다. 하지만, 2개의 팀은 각각의 목적조직이고 그 ..

    금융서비스 MSA 전환기- 서버 간 비동기 메시지 기반 통신 처리(3편)

    금융서비스 MSA 전환기- 서버 간 비동기 메시지 기반 통신 처리(3편)

    안녕하세요, FINDA 현금그로스 PG 자산/신용관리 PT 백엔드 개발자 김형래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산/신용관리 PT 에서 대량 트래픽에서 운영 서비스에 유입되는 트래픽을 원활이 처리하기 위해서 서버 간 메시지를 정의해서 비동기로 처리했던 프로젝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왜 비동기 처리를 선택했나? 이전 글에서 다뤄본 CircuitBreaker 로 대량 트래픽 처리 시, 해결되지 않는 부분이 존재했습니다. CircuitBreaker 는 온전히 트래픽 유입을 조절하는 부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내부 서비스들 간의 통신에서 Latency 가 오래 걸리는 API 가 있고, Thread 를 더욱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을 강구해 봐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실제 FINDA ..

    금융서비스 MSA 전환기- BFF 와 CircuitBreaker 적용(2편)

    금융서비스 MSA 전환기- BFF 와 CircuitBreaker 적용(2편)

    안녕하세요, FINDA 현금그로스 PG 자산/신용관리 PT 백엔드 개발자 김형래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산/신용관리 PT 에서 기존 서비스를 Frontend 에 서빙하기 편리한 구조인 BFF(Backend For Frontend) 와 대량 트래픽에서 운영 서비스에 유입되는 트래픽 조절을 위한 CircuitBreaker 적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왜 BFF(Backend For Frontend) 서비스를 필요로 할까요? BFF 패턴 간단히 말하면, Frontend 를 위한 Backend 서버를 말합니다. BFF 패턴이 생겨난 이유는 다양한 디바이스 장치가 생겨나면서 각각의 환경에 맞는 UI 가 필요해졌기 때문입니다(WEB, Mobile, Watch, Tablet 등). 같은 서비스라도 사용하는 디바..

    금융서비스 MSA 전환기 - DB 분리(1편)

    금융서비스 MSA 전환기 - DB 분리(1편)

    안녕하세요, FINDA 현금그로스 PG 자산/신용관리 PT 백엔드 개발자 김형래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산/신용관리 PT 에서 기존 및 신규 서비스를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로 전환하는 첫 단추를 끼우는 작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왜 기존 서비스를 마이크로 서비스(MSA) 로 전환해야 할까요? Why 를 팀원 들과 논의하게 된 시점은 KCB 의 금융명의보호 서비스를 개발하면서 시작되었어요. 금융명의보호 서비스(이하 금명보 서비스)는 아래와 같아요. 이 서비스에 가입해 두면 누군가가 자신 몰래 카드를 신규 발급받거나 카드론 등을 신청할 경우 곧바로 ‘알림 정보’가 옵니다. 아예 금융사가 자신의 신용정보를 조회하지 못하도록 ‘차단’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피해 ..

    우리의 개발문화는 이렇게 성장합니다

    우리의 개발문화는 이렇게 성장합니다

    안녕하세요, FINDA 현금그로스 PG 자산/신용관리 PT 백엔드 개발자 김형래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가 팀빌딩을 하면서 고민했던 내용과 FINDA 현금그로스 PG 개발문화의 과거와 현재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려고 합니다. FINDA 내에는 다양한 PT 가 있고, 여러 PT 가 하나의 PG 로 모여 일합니다. 다수의 인원과 다양한 직군이 만나 일 하는 방식에서 더 일 잘하는 개발문화에 대한 주제가 필요해 보여서 해당 주제로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사례 중심으로 개발문화란 무엇이고, FINDA 현금그로스 PG 자산/신용관리 PT 의 개발문화는 어떻게 변화가 되었는지 알아 볼게요! 개발 문화란 무엇 일까요? 개발 [명사] 새로운 물건을 만들거나 새로운 생각을 내어놓음. 문화 [명사] 자연 상태에서 벗어나 ..